1930년대 대공황 당시 미국 상무부가 만들어 경제회복의 잣대로 사용하기 시작한 GDP는 개발된 이후 한 나라의 경제적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 나라 국민의 삶의 만족도와 질, 행복도 등을 평가하는 데 있어 단순히 소득의 크기만을 측정하는 GDP는 여러모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에 국제기구와 여러 민간단체에서는 행복이나 웰빙(Well-being)과 같은 종합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를 개발해 더욱 다각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시도 중입니다.
▶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 BLI란?
BLI(Better Life Index)는 OECD가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매년 발표해오면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삶의 질 관련 지표입니다. 지난해까지 34개 OECD 회원국들과 러시아, 브라질까지 36개국이 대상이었으나, 올해에는 라트비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포함 돼 총 38개국으로 조사 대상이 확대됐습니다.
BLI는 11개 영역과 이와 관련한 24개 지표로 구성돼 있는데, 지수화된 영역별 점수를 바탕으로 한 나라의 웰빙 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OECD는 웰빙을 측정하는 각 영역을 도출하는데 상당 수준의 논의를 거쳤다고 밝혔습니다. BLI의 11개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질적 삶의 요건인 주거, 소득, 직업 그리고 삶의 질과 관련된 공동체, 교육, 환경, 정치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총 11개 영역 평가로 BLI 지표가 형성됩니다.
▶ 2016년, 우리나라는 과연 몇 위를 차지했을까?
아쉽게도 대한민국의 BLI 순위는 그리 높지 않습니다. 2011년 26위, 2012년 24위에 이어 이후에도 순위에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2016년 발표에서는 28위에 그쳤습니다.
▶ BLI 영역별 순위는 어떨까?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우세한 교육영역에서 6위,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성숙에 따른 시민참여 영역에서 10위 등 비교적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공동체(37위), 환경(37위), 일과 삶의 균형(36위), 삶의 만족(36위), 건강(35위) 영역에서는 조사대상국 중 거의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고요.
일부 전문가들은 공동체, 안전과 환경, 건강 등 주관적 느낌을 묻는 항목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다른 나라 국민보다 상대적으로 비관적으로 답하는 경향이 강해 실제보다 지표가 낮게 나왔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OECD도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전체 합산 순위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나라마다 더 중요하다고 느끼는 영역이 다를 수 있는 만큼 영역별 가중치도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통계청은 지난 2011년부터 ‘국민 삶의 질 지표’ 개발에 착수해 2015년부터 81개 지표로 구성된 QOL(Quality Of Life)이라는 지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과 더불어 질까지 측정하는 지표로 한국적인 특색(예를 들어 사교육비, 자살률, 독거노인 비율 등)을 감안해 국민의 실질적인 생활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세계 경제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위상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전반적 삶의 질을 측정한 BLI에서 이처럼 낮은 순위가 나오고 있다는 사실은 문제로 인식해야 합니다.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환경, 공동체 의식, 건강, 일과 삶의 균형 같은 가치는 희생하지 않았는지 스스로 돌아보는 계기도 되어야 할 것입니다.
정부와 기업, 모든 국민이 앞으로는 더 많이, 더 빨리만 외치는 삶이 아닌 질적으로 높은 성장이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