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 전자제품은 물론 자동차까지… 요새는 물건을 살 때면 당연한 것처럼 인터넷을 통해 가격을 비교하곤 하죠. 다양한 웹 사이트에서 원하는 상품을 몇 번의 클릭만으로 가격을 비교해 만족스러운 구매를 해보신 경험이 누구나 계실 거에요. 하지만 검색하기 쉬운 물건이 아닌, 무형의 보험상품 선택은 어떠신가요? 정말 종류도 많은 데다가 어려운 보험용어들 때문에라도 같은 보장내용이라도 어떤 상품이 저렴한지, 어떤 회사가 비싼 보험을 팔고 있는지 알기가 어려웠죠.
▶ 5년 만에 바뀐 보험업감독규정과 보험가격지수
하지만 올해 9월부터 금융위원회가 보험업감독규정을 개정해, 생명·손해보험협회의 보험상품 비교공시가 전면 개편됐답니다. 이 개편은 지난 2010년 이후 5년여 만에 이뤄진 것으로, 보장성보험에는 ‘보험가격지수’가 도입되고 저축성보험은 보험사가 수수료(사업비)를 얼마나 떼 가는지를 공시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어떻게 바뀐 것인지 상세하게 알아볼까요?
먼저 ‘보험가격지수’는 보험사 업계 평균 보험료 대비 해당 상품의 보험료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100을 넘으면 평균보다 비싸다는 것을 뜻하고요, 100보다 적으면 평균보다 저렴하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보험가격지수를 들여다보는 것으로 같은 보장을 하는 상품들끼리 상대평가가 가능해진 것이죠. 보험가격지수 공시는 크게 종신보험, 정기보험, 질병보험, CI보험, 상해보험, 어린이보험, 실손의료보험 7가지로 나누어 공시되는데요, 전체 생명보험사가 파는 보험상품을 모두 비교할 수 있답니다.
▶ 보험가격지수 표기로 더 쉬워진 보험상품 결정
이 중 종신보험을 예로 들어볼까요? 주요 3개 생명보험사 대면채널(설계사를 통해 가입하는 방법)을 통해 가입할 수 있는 종신보험의 보험료 가격지수는 90.5%~113.4%까지 다양합니다. 회사별로도 다르지만, 같은 회사라도 변액보험, 비변액보험에 따라서 다를 수도 있고요. 이왕이면 단돈 천 원이라도 저렴한 상품을 고를 수 있다면 좋겠죠.
하지만 여기에서 주의하셔야 할 점은, 보험상품 결정은 보험료만 보고 판단하셔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길게는 수십 년 동안 자기 자산을 관리해 줄 회사이기 때문에 재무적으로 안정적인지, 그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양한지, 상품 보장 외에 보험료 자유납입·중도인출 같은 부가기능이 들어 있는지 등도 꼼꼼히 따져 보시는 것이 무척 중요하답니다.
▶ 개정으로 바뀐 저축성보험 공시 내용들
이번 개정으로 저축성보험은 적립금과 적립률을 공시하게 되었는데요. 저축성보험은 고객이 낸 보험료에서 수수료 성격이라고 할 수 있는 사업비 제외 금액을 해당 상품에서 정한 이율로 부리(이자가 붙은 것을 가리킴)하는 방법으로 적립됩니다. 즉, 사업비가 적어야 적립금액도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이번 개편으로 저축성보험의 적립비율은 보험계약 때 교부되는 보험안내장 등에도 표기됩니다. 기존에는 해지 환급금 예시 표만 있었기에 보험사에서 해지할 때 떼는 해지 공제가 반영된 금액을 가늠한다든지 실질적인 적립금 수준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제는 안내되는 적립비율을 미리 살필 수 있어서 조기에 해지하면 어느 정도 손실을 보게 될지 파악하는 것도 가능해졌죠.
그 외에 매월 보험사가 정하는 공시이율에 따라 부리 되는 ‘금리연동형’ 보험의 경우 예상 수익률을 선택하면 보험계약 후 7년 이내, 8~10년, 10년 초과 시의 예상 적립비율을 구간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비율이 높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고객 입장에서는 유리하답니다.
▶ 유사한 공시형태를 갖춘 변액보험에 대해 주의할 점은?
고객이 선택한 펀드 수익률에 따라 적립금이 부리 되는 ‘변액보험’ 역시 유사한 방법으로 공시됩니다. 다만, 변액보험은 펀드 수익률이 적립금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단순히 사업비율이 적은 상품만을 찾기보다 시장 변화를 살피면서 펀드변경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 잊지 마시고요.
보험가격지수와 저축성보험의 적립비율 등은 생명보험협회 공시실(http://pub.insure.or.kr/) 메뉴의 상품비교공시를 통해 확인 가능하니 해당 웹사이트를 들여다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보험가격지수=[보험료 총액/(참조 순보험료+업계평균 사업비 총액)]*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