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얼마나 많은 일을 하고 있을까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순위 항목들은 여러 나라와 우리나라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장점과 문제점을 모두 알려주는 지표가 되는데요.
최근 OECD 통계 항목 중 2014년 기준 한국의 취업자 1인 평균 노동시간이 다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멕시코의 2228시간에 이어 한국은 2124 시간으로 2위를 차지했는데요. 이는 OECD 평균 노동시간인 1770 시간보다 354시간 많은 수치로 한국인은 평균 7시간을 더 일하는 셈이라고 합니다. 무척 고된 근로환경이죠.
▶OECD에서 상위를 달리는 한국인의 노동시간과 하위를 달리는 삶의 만족도
더불어 연관된 OECD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 역시 10점 만점에 5.8점으로 OECD 평균인 6.58점보다 낮았는데요. 비슷한 조사 항목의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보고서에서는 한국인의 삶 만족도 순위가 조사 대상국 36개국 가운데 27위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이렇듯 한국 직장인의 시간은 온전히 직장에 매여 있게 되니 일과 삶의 균형이 깨지기도 쉽습니다. 특히 '2015 고령자 통계'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자신의 삶에 대해 25.6%만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100세 시대를 앞둔 지금은 무엇보다 '행복 수명'을 늘리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행복 수명'이란 생물학적 관점의 수명에 건강의 개념을 더한 '건강 수명'을 넘어, 궁극적인 삶의 가치인 행복에 수명의 개념을 연결한 용어인데요. 나와 가족 모두가 행복하다고 느끼며 살 수 있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행복 수명 즉, 행복한 노후를 결정짓는 3가지 요소는 무엇일까요?
▶행복한 노후를 결정짓는 3가지 요소는 무엇일까?
첫 번째, ‘경제 수명’을 늘리자! 현재의 자신이 갖고 있는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해 잔존가치를 늘려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기계설비 같은 유형자산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용이 불가능해지죠. 그러나 사용 불능이 됐다 해서 그대로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유형자산은 일반적인 조건에서 사용 기간이 다한 시점에서도 일정하게 남게 되는 자산적 가치가 있는데요. 이를 잔존 가치(Salvage Value)라고 합니다.
이런 개념은 사람에게도 해당될 수 있는데요. '경제 수명'이란, 은퇴 후에도 자신의 잔존 가치를 높이며 일하는 기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일을 선택할 때 과거에는 자신이 벌게 되는 임금 수준만 중시했다면, 최근에는 '일의 양과 그 일에 쓰이는 노동시간'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특히 은퇴 후에도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좋은 일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미리미리 자신을 스스로 개발해 '잔존 가치'를 높여갈 필요가 있겠죠.
두 번째, ‘건강 수명’을 늘리자! 건강은 몸의 건강 뿐 아니라 마음의 건강도 중요합니다. 심리 건강에 대한 관리를 잘해야 건강의 수명이 늘어납니다. 지난 9월 9일 유엔 산하단체인 '헬프 에이지 인터내셔널'은 2015년 세계노인복지지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건강 부문'에서 3가지 지표(60세의 기대수명, 60세의 건강 기대수명, 심리·정신적 복지)를 점수화했을 때 96개국 가운데 42위로 중위권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의 60세는 평균적으로 24년을 더 살아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건강하게 더 살아갈 수 있는 기간(건강 기대수명)'은 그에 반해 18.3년에 그치고 있었습니다. 평균 6년 정도를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살아야 한다는 뜻이죠. 그러니 행복한 노후를 위해선 적절한 건강관리를 통해 건강 기대수명을 늘리려는 노력이 필요한데요.
챙겨야 할 것은 몸의 건강뿐 아니라 정신 건강도 마찬가지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같은 조사에서 한국은 정신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인 '심리·정신적 복지' 부문에서는 최하위(90개국 가운데 88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 노인의 심리적 만족도가 매우 낮다는 뜻이죠. 고령화 시대를 맞아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정신적 건강관리 부문의 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소통 수명'을 늘리자!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고 그 시간을 만들어야 더불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오래 사는 수명의 양(量)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수명의 질(質)이 중요해지는 고령화 사회에서는 우리가 건강 못지않게 지켜야 할 것이 바로 삶의 여유와 가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은퇴하고 나면 그동안 직장에서 보내던 시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가족과 보내야 하는데요. 노후의 가장 큰 버팀목인 가족과 그간 함께한 시간이 부족하면 은퇴 후에는 도리어 가족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고,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65세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4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남편은 아내에게 63.6% 만족하는 것에 반해 아내는 남편에게 52.2%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불만족'의 경우는 남편이 4.9%에 불과한 반면 부인은 11.5%로 부부간에 큰 격차를 보였는데요. 은퇴 전에 경제적 주체였던 남편의 존재감이 은퇴 후 사라지고 가족과 소통이 단절되는 '불통의 시기'만 늘어난다면 인생 100세 시대의 행복 수명은 짧아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100세 시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돌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과 함께 할 사람들과의 관계 역시 돌봐야 더 행복해질 수 있겠죠. 행복 수명 늘리기, 얼핏 보면 어려운 방법처럼 보이지만 우선 그 마음부터 시작하신다면 그 순간부터 벌써 수명이 늘어나고 행복해지지 않을까요?
다른 글 더보기 ▶숫자로 알아보는 한국 노년층의 삶은? <바로가기> ▶행복한 은퇴의 비밀을 여는 다섯 가지 열쇠는? <바로가기> ▶대한민국 자영업자는 노후대비를 어떻게 할까? <바로가기> |